안녕하세요 인포넷 입니다.
내 연금이 왜 줄었지? 갑자기 끊긴 이유, 여기서 확인하세요!
기초연금은 많은 어르신들에게 매달 큰 도움이 되는 소중한 제도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왜 이번 달부터 기초연금이 안 들어오지?”, “나는 계속 받던 사람인데 왜 끊긴 거지?”라는 얘기, 들어보신 적 있나요?
바로 그 이유가 4월 25일에 있습니다.
정부는 매년 4월 25일을 기준으로 기초연금 수급 자격을 다시 심사합니다. 지난해의 소득이나 재산 상황이 바뀌었다면, 그 변화가 올해 4월 25일부터 적용되어 연금액이 줄어들거나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는 것이죠.
오늘은 이런 기초연금 변경 사항에 대해 자세하고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특히 65세 이상이시거나 부모님이 기초연금을 받고 계신다면 꼭 함께 확인해 주세요!
왜 하필 4월 25일인가요?
기초연금은 한 번 신청하고 끝나는 제도가 아닙니다. 매년 정해진 기준일을 기준으로, 어르신의 소득과 재산 정보를 다시 점검하고, 수급 자격을 재평가 하는데요.
바로 이 ‘기준일’이 4월 25일입니다.
그 전년도, 그러니까 2024년에 생긴 소득과 재산의 변화가 2025년 4월 25일부터 적용되는 거죠.
예를 들어, 작년에 새로 일을 시작하셨거나 예금이 많이 늘어났다면, 그 영향이 바로 이번 4월 25일부터 나타나는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 연금을 못 받게 되나요?
아래에 해당된다면, 기초연금 수급 자격에서 탈락하거나, 받는 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이자 소득이 늘어난 경우
예금이나 적금, 채권 같은 금융상품에서 나오는 이자가 작년보다 많이 늘었다면, 이게 ‘소득’으로 잡힙니다.
예를 들어, 예금 금리가 오르면서 이자가 보다 많이 나왔던 분들, 이게 연금 수급 심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새로 일을 하셨거나 근로소득이 늘어난 경우
65세 이상이어도 일을 하시는 분들 많죠.
작년에 아르바이트나 일용직, 혹은 정기적인 일자리를 통해 소득이 생겼다면, 그 금액도 심사 대상입니다.
물론, 근로소득에는 기본공제 112만 원, 추가로 초과분의 30%만 반영하는 공제 혜택이 있지만, 어느 정도 소득이 많아지면 수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 경우
본인 소유의 집이나 토지의 공시가격이 작년에 크게 상승했다면, 이것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시가격이 오르면, ‘재산의 소득 환산액’이 같이 올라가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공시가격이 2억 원 상승하면, 월 소득으로 약 66만 6천 원이 추가로 잡히게 됩니다.
기초연금은 1인 가구 기준 소득인정액이 228만 원 이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추가 소득이 잡히면 순식간에 기준을 넘을 수 있거든요.
• 금융 재산이 급격히 늘어난 경우
갑자기 큰 금액이 통장에 들어온 경우, 예를 들어 자녀에게 현금을 받았거나, 어떤 정산금이 들어온 경우 등 모두 심사 대상이에요.
특히 큰 금액의 입금은 ‘증여’로 간주될 수 있어 조심해야 합니다.
• 부동산을 팔고 현금화한 경우
부동산을 팔고 통장에 큰 돈이 들어왔을 경우, 재산은 줄었지만 금융자산이 늘어난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연금 수급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요.
이미 받고 있었는데 왜 갑자기 끊기죠?
많은 분들이 “나는 계속 잘 받고 있었는데 왜 끊겼지?” 하고 걱정하시는데요,
정부는 어르신들의 계좌, 소득, 재산 정보를 정기적으로 자동 조회합니다.
그래서 본인이 신고하지 않아도, 이전과 달라진 사항이 있으면 이를 기준으로 연금 수급 자격을 재심사하게 되는거지요.
그러니까 갑자기 기초연금이 끊긴 것 같더라도, 작년에 내 소득이나 재산에 변화가 있었는지부터 천천히 돌아보시는 게 먼저입니다.
요점 정리! 꼭 기억하세요
✔ 기초연금 자격은 매년 4월 25일에 다시 심사된다
✔ 지난해(2024년)의 소득, 재산 변화가 올해(2025년) 4월 25일부터 적용된다
✔ 예금 이자, 근로소득, 부동산 공시가격, 금융자산 등 변화가 있을 경우 영향을 준다
✔ 연금이 줄거나 끊겼다고 놀라지 말고, 변동 내용을 먼저 확인하자
마무리
혹시 부모님이나 주변 어르신이 “기초연금이 안 들어온다”고 하신다면, 이 글을 꼭 공유해주세요.
정확한 정보를 아는 것이 불필요한 걱정을 줄이는 첫걸음이니까요.
그리고 나에게 해당될 수 있는 변화가 있었다면,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서 자세한 상담도 받아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상 인포넷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