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포넷 입니다.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위해 청년도약계좌라는 적금을 가입하면 나라에서 매월 최대 33000원을 그냥 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일반 적금보다 이자도 높고 비과세 라는 점, 무엇보다도 나라에서 매월 공짜 돈을 주는 점은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한번 알아볼까요?
청년도약계좌의 개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위해 나라에서 만든 정책형 금융 상품으로 가입기간은 60개월(5년)만기로 납입금액 1천원~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하면 매월 나라에서 주는 정부기여금 형태로 매월 최대 3만3천원을 받고,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조건
나이
통장 개설일 기준 만 19세~34세 이하 이어야 합니다.
단 병역기간(최대6년)은 빼고 계산하니까 군필자는 중 일반 사병은 36세 정도까지 장교나 부사관은 복무년수에 따라 40세까지도 가능하겠네요
개인소득
직전 과세 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인 경우
⤷ 회사에 다니면서 급여를 받는 근로소득자의 세전 연봉이 7500만원 이하 인 경우 가입가능합니다.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 자영업이나 프리랜서의 경우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가입 가능합니다.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으로 소득 250%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중위소득250%는
1인 가구일 때 년소득 62,336,760원 이하
2인 가구일 때 2명합해 년소득 103,684,650원 이하
3인 가구일 때 3명합해 년소득 133,044,480원 이하 이면 모두 가입 가능합니다.
금융종합과세
가입일 3년 전 동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자
⤷ 위에 해당하시는 분은 금융소득이 많으신 분인데요.
이자 + 배당 등 금융소득이 1년에 2천만원이 넘는 사람을 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3가지의 큰 혜택
① 정부기여금 형태로 무료로 최대 33000원을 준다는 것과
② 비과세 혜택으로 내가 납입한 금액과 정부기여금이 모두 이자소득세가 없다는 것.
③ 우대금리로 일반 은행금리보다 높은 금리의 이자를 준다는 것 입니다.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
하지만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월 33,000원을 주는 건 아닙니다.
개인 소득구간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21000원에서 최대 33,000원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가입방법은 어렵지는 않으나 개인 및 가구소득의 세부확인 절차가 있어서 약 2주정도가 소요되는데요.
① 취급 은행의 모바일 앱 이나 홈페이지에서 가입신청을 합니다.
1금융권의 모든 은행에서 취급을 하는데요. 그래도 은행별 가산금리 등 조건이 다르니 은행별 금리를 확인 후 선택하는게 좋습니다.
② 가입신청한 은행은 서민금융진흥원에 서류를 보내 가입요건등을 확인후 결과를 통보하게 되고
결과가 도착하면 해당은행에서 통보가 오게되고 계좌가 개설됩니다.
가입시 유의사항
✓ 취급은행 통틀어 한명당 한개의 계좌만 개설가능합니다.
그리고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납부하고 있다면 가입이 안되는 점 알아야겠네요
✓ 가입한지 3년 미만 유지하고 해지시 비과세가 적용되지 않고 정부기여금도 환수됩니다.
3년 이상만 유지하면 60%해당하는 비과세와 기여금은 지급됩니다.
마무리
이렇게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말정산 까지 된다면 거의 완벽한 계좌일 테지만 앞서 소개한 3가지의 큰 혜택만 보아도 가입해야 할 이유가 충분한 것 같습니다. 아직 가입하지 않은 분이라면 적극 고려해 봐도 괜찮겠네요.
이상 인포넷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