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신호? (장단기 금리 역전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인포넷 입니다.
요즈음 미국주식 뿐 아니라 한국주식도 하락하고 체감경기 역시 좋지 못한데요.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장단기 금리 역전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보가 왕초보를 설명한다는 생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장단기 금리차란?

장단기 금리 용어풀이

장단기 금리차란 장기 금리와 단기 금리의 차이입니다. 장기 금리는 보통 만기 10년 국채 금리를 말하고 단기 금리는 만기 보통 2년짜리 국채 금리를 말합니다.
장기금리가 4%이고 단기금리가 3%라면 장단기 금리차이는 +1% 차이인 것 이지요.


장단기 금리 차이의 예

예를들어 다른사람에게 100만원을 빌려준다고 해보지요. 이 때 우리는 만기 날짜를 정하고 만기 이자를 정합니다.
이때 만기일을 2년이내로 하면 단기금리, 만기일을 10년이라면 장기금리 라고 합니다.
또 이자도 정해야 합니다.
만기금리 2년짜리의 이자와 만기 10년짜리 이자를 정하데, 물론 빌려주는 사람 마음이겠지만 보통사람이라면
만기가 짧은 것(2년) 보다 만기가 긴 거(10년)는 이자를 더 받고 싶어 할 것입니다.
만기일이 되어 돈을 다시 받아야 하는데 만기일이 길면 돈 떼일 확률도 그 만큼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 듯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은 게 정상입니다.


장단기 금리 차 역전 상황

그런데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더 낮은 상황도 있습니다.
돈 떼일 확률이 높은 장기금리가 3%이고 돈 떼일 확률이 적은 단기금리가 4%가 되는 상황 말이지요.
이럴 땐 장단기 금리차가 -1% 이고 장단기 금리 차가 역전 되었다고 말 합니다.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지요?

어떤 상황일 때 장단기 금리차이가 역전될 까요?
첫번째 이유는 연준(fed)의 급격한 금리 인상입니다.
최근 미국의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 했을 때 단기 국채 금리가 2023년 7월 5.5%까지 인상했지요? 이렇게 단기국채 금리를 급하게 올리다 보면 장기국채 금리보다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두번째 이유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장기국채를 선호할 때 입니다.
경기침체나 둔화의 가능성이 커질 때,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을 선호하게 되는데 이럴 때 장기 국채 수요가 증가하면서 장기 국채의 가격이 오르고 금리가 내려가게 됩니다. 이럴 때 단기국채 금리는 그대로 이지만 장기국채 금리가 하락하면서 역전되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국채의 가격과 금리의 관계는 따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렇듯 일반적인 경제 상황이 아닐 때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왜 미국지표인가?

우리나라의 장단기 금리 지표를 보지 왜 굳이 먼나라 미국의 지표를 두고 이야기 할 까요?
미국 국채 금리는 전 세계 금융시장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데 특히 미국 국채 10년물은 가장 안전자산으로 간주됩니다. 게다가 과거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는 높은 확률로 글로벌 경기침체를 예고하는데 국내 장단기 금리차도 중요하긴 하지만 영향력은 미국이 큰게 현실 입니다.


실제 지표를 보며 경기침체 신호? 확인

출처 FED

위 그래프는 1980년 이후 장 단기 금리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입니다.
빨간색 그래프는 3개월 만기 단기 금리와 장기 금리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 이고
파란색 그래프는 2년 만기 단기 금리와 장기 금리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과거 장단기 금리 역전 후 경기침체 상황

공통되는 되는 상황이 보이시나요?
장단기 금리가 역전(-마이너스 상황)되는 상황이 있고 그 얼마 후 경기침체가 왔었지요.
90년대 초 금융기관 부실의 경기침체, 2001년 닷컴 버블 붕괴의 경기침체, 2007년 서브프라임 글로벌 금융위기의 경기침체,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의 경기침체 이 모두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 된 후 일어난 경기침체 였습니다.


역대급 장단기 금리 차, 기간

가까운 과거인 2023년 7월 장단기 금리차는 역대급으로 차이가 많은 금리 역전 상황 이었고 그 기간도 역대급으로 길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경제 학자들이 앞으로 다가올 경기침체는 대공황급 경기침체가 올 것이다 라고 이야기 하곤 합니다.
하지만 100% 경기침체가 온 건 아니었습니다.
1998년 우리나라는 IMF인 아시아 금융위기 여파로 잠깐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 되었지만 경기 침체 없이 회복된 적이 있긴 합니다.


마무리 하며

이렇게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알아보고 또 장단기 금리 차가 역전 되는 상황이 있는 얼마 후 경기침체가 온 사례들을 알아보았습니다.
경기침체는 사후 데이터로 확인하는 거라 미래에서 보는 지금 현재가 경기침체 상황일 수도 있는데요.

준비해야 할 것

이럴 때 일 수록 최소 6개월 정도의 생활비(현금)를 확보해두고 부채와 소비를 줄여 나가는 등으로 위험을 줄이고
경기 침체 후에는 부를 쌓는 기회가 생기게 마련인데 그 때를 기다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인포넷 이었습니다.

답글 남기기